반응형
멈춰 있는 사진을 찍을 때는 주로 조리개 구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피사계 심도로 찍는다. 하지만, 움직이는 물체의 경우 셔터 스피드를 조절하게 된다.
셔터 스피드가 빠른 경우: 잔상이 없고 멈춰 있는 것처럼 촬영된다. 1/500 이하
셔터 스피드가 느린 경우: 잔상이 있고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촬영된다. 1/60 이상. 삼각대가 필수로 요구된다.
아래 사진은 셔터 스피드를 다르게 하고 찍은 사진이다.
셔터 스피드에 따른 이러한 차이를 이용해 여러 종류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Panning (패닝)
움직이는 피사체의 진행 방향에 맞춰 카메라를 이동시키며 촬영하는 기법. 느린 셔터 스피드를 사용하며 대상으로 하는 물체는 멈춰있는 것처럼, 배경은 움직이는 것처럼 촬영하는 기법이다.
아래 접은 글은 그 예시이다.
더보기

패닝 기법으로 찍은 사진. 기차는 멈춰 있는 것처럼 보이나 배경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Light Painting
느린 셔터 스피드로 촬영해 빛이 이어져 보이게 찍는 방법이다.
아래 접은 글은 그 예시이다.
반응형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 모드 (0) | 2021.03.29 |
---|---|
피사계 심도의 이해 (0) | 2021.03.28 |
적정 노출 맞추기 (0) | 2021.03.27 |
셔터스피드와 노출의 관계 (0) | 2021.03.25 |
조리개와 노출의 관계 (0) | 2021.03.25 |
노출의 이해 (0) | 2021.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