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해부학으로 보는 근육 이야기-근육의 명명

by 카멜리아 시넨시스 2021. 11. 20.
반응형

 

 

 

의학 용어가 으레 그렇듯이, 근육의 명칭도 대개 라틴어에서 비롯됩니다. Trapezius, 즉 등세모근(승모근)은 라틴어 Musculus Trapezius에서 앞의 Musculus가 사라진 것으로, Latissimus dorsi(넓은등근) 등의 대다수의 근육의 명칭이 라틴어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아예 라틴어 명칭 자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얼굴 근육 중 하나인 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와 같은 근육들은 라틴어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이런 근육들의 이름을 붙이는 것에도 일종의 원칙이 있습니다. 대개 다음 3가지 방법 중 하나를 따릅니다.

 

 

1. 근육의 이는 곳과 닿는 곳을 명칭에 포함함

 

가로돌기가시근육, transversospinalis는 이 근육의 이는 곳인 transverse process of vertebra와 닿는 곳인 spinous process of vertebra를 이용하여 명명되었습니다. 이외에도 목빗근 sternocleidomastoid muscle 등의 근육이 다음 원칙을 사용합니다.

 

 

 

2. 근육의 모양과 위치를 명칭에 포함함

 

넓은등근, latissimus dorsi에서 latissimus는 largest의 뜻을 가지며, 이는 넓은등근이 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에서 이름 붙여졌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근육으로 longissimus, semispinalis 등이 있습니다. 

 

 

 

3. 근육의 동작을 명칭에 포함함.

 

척추에 붙어있는 돌림근 rotatores는 척추, 즉 몸통을 돌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의 역할이 명명에 반영되어 rotate라는 의미를 가지는 rotatores가 탄생하였습니다.

 

 

 

 

 

 

주로 영어 명칭을 이용해 근육을 지칭하지만, 영어 명칭의 한국어 번역에 대해 간단히 알아봅시다.

 

과거의 한국어 번역은 주로 한자를 통해 이뤄졌습니다. Trapezius는 승려의 모자를 닮았다고 해서 승모근(僧帽筋)이라 번역했으며, Latissimus dorsi의 경우 한자를 사용하여 광배근(廣背筋)이라고 번역했습니다.

 

반면, 요즘의 한국어 번역은 한자 사용을 줄이고 한글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Trapezius는 '등에 있는 세모 모양의 근육'이란 의미에서 등세모근으로 번역되고 있고, latissimus dorsi는 광배근이라는 한자를 한국어로 풀어 넓은등근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이외 다른 영어 명칭의 한국어 번역은 KMLE의 의학 검색 엔진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KMLE 의학 검색 엔진 - 의학사전, 의학용어, 의학약어, 의학논문, 약품/의약품 검색

 

KMLE 의학 검색 엔진 - 의학사전, 의학용어, 의학약어, 의학논문, 약품/의약품 검색

대한의협, 대한해부학회, 대한기생충학회 의학 용어 검색, 음성발음 총 67,437 단어 수록, 의학용어 총 239,916 단어 수록, 의학사전 총 231,021 단어 수록 의학약어 총 55,821 단어 수록, 의학논문 약자 2

www.kmle.co.kr

 

반응형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학으로 보는 근육 이야기-근육의 작용  (0) 2021.11.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