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의 "Financial Accounting: Foundations" 강의를 바탕으로 합니다.
회계를 위해서 지켜야 하는 원칙으로는 총 다섯 가지가 존재하며, 이는 다음과 같다.
-
going concern
-
conversatism
-
matching
-
consistency
-
accruals
1. going concern
going concern은 회사가 내년이나 근래에 파산하는 것이 아닌 영원히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만약 회사가 내년에 파산한다고 생각한다면, 보유한 자산의 경우 급매로 싸게 내놓아야 할 것으로 원래 가치보다 낮게 잡히게 된다. 이렇듯 회사가 근래에 파산한다고 가정하면 회계 상의 숫자가 의미 없어지게 되므로 영원히 존재한다고 가정해야 한다.
2. conservatism
conservatism은 수입은 확실한 것만, 비용의 경우에는 다소 불확실한 것도 포함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conservatism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이 바로 부채의 provision으로, 소송 패소와 같이 불확실한 것도 포함한다.
3. matching
matching은 수입과 수입에 대한 비용을 서로 연결시킨다는 의미이다. 재무제표에 물건 판매 수입을 기재한다면, 물건의 원가인 비용도 함께 기재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4. consistency
consistency는 회계 원칙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년마다 회사의 상황을 비교할 수 있게 한 회사의 연간 보고서는 같은 회계 원칙을 이용하여 작성되어야 하며, 동종 업계의 다른 회사들을 비교할 수 있게 동종의 회사들은 서로 비슷한 원칙을 사용해야 한다.
5. accruals
accruals는 수입의 경우 실제로 벌은 경우 기재하고, 비용의 경우 발생했을 때 기재한다는 원칙이다. 추후 accruals 항목에서 세세히 다루자.
'회계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enue Recognition (0) | 2021.03.07 |
---|---|
Conservatism Concept (0) | 2021.03.05 |
Accruals Concept (0) | 2021.03.01 |
Financial Statement 작성 도구 (0) | 2021.02.23 |
Cash Flow Statement의 이해 (0) | 2021.02.12 |
AT&T를 통한 Income Statement의 이해 (0) | 202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