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ales Returns는 일정 기간 내에 반품을 허용하는 일부 회사들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옷가게에서 일주일 내에 반품 시 전액 환불을 원칙으로 한다면, 반품된 물건에 대해서는 수입으로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회계의 기본 원칙 중 Conservatism에 의거하여 수입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측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사에선 판매 수입의 일부를 반품될 것이라고 가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provision을 도입해야 한다.
Sales Returns에 해당하는 provision을 특히 Sales Returns Allowance라고 하며, Asset 하에서 음의 값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Contra Assets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보자.
옷가게 A에서 의류 판매로 3월 동안 50,000$를 벌어들였다. A는 1달 내에 반품된 상품에 대해 전액 환불을 진행하고 있고, 과거 경험에 의거하여 10%의 상품이 반품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실제로 3월 동안 반품된 상품은 2,000$였다.
표를 그려보자.
표와 같이 Sales Returns Allowance에 5,000$가 음의 값으로 기록되며, 이후 실제로 반품된 금액은 Income Statement에 기록되지 않고 Sales Returns Allowance에서 차감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수입의 변동 없이 이런 손실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반응형
'회계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sh discounts (0) | 2021.04.03 |
---|---|
Revenue Recognition (0) | 2021.03.07 |
Conservatism Concept (0) | 2021.03.05 |
Accruals Concept (0) | 2021.03.01 |
Fundamental accounting concepts (0) | 2021.02.25 |
Financial Statement 작성 도구 (0) | 2021.02.23 |
댓글